매일 아침 6시 도지의 승려는 차, 쌀, 과일, 제철 채소로 구성된 식사를, 진언 밀교를 설립하고 사후에 고보 대사라는 명칭으로 더 유명해진 구카이(774-835)에게 바친다. 구카이는 도지의 별당으로 일하는 동안 어영당에 기거했다. 이러한 아침 의식은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.
어영당은 1379년에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1390년에 완전 복원되었다. 어영당은 이후 1486년에 발생한 화재로 살아남은, 도지의 몇 안 되는 건물 중 하나이다. 그 건축양식은 종교적이라기보다 세속적이며, 헤이안시대 초기(794-1185) 상급 무사의 집인 ‘쇼인 즈쿠리’에 가깝다.
닫기
히와다부키
편백나무 껍질을 차례대로 깔고 대나무 못으로 박는 공법. 내구성이 좋으며, 완성된 모습이 아름다운 일본 고유의 지붕 제작 방식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툇마루
건물 바깥에 설치된 나무판자를 깐 통로부분을 가리킨다. 격식을 갖춘 객실의 툇마루는 넓은 툇마루에다 좁고 낮은 툇마루까지 설치하여 개구부를 넓게 잡았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쇼인 즈쿠리
자시키 카자리(다다미방 장식)'라 불리는 설비를 갖춘 다다미방이나 건물을 널리 부르는 것. 격식을 중시하고 대면 및 접객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지어졌다. '쇼인 즈쿠리(서원양식)'는 현대에도 계승되고 있으며, 다다미방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아즈치 모모야마 시대
시대 구분 중 하나.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받들어 교토로 들어간 1568년부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1598년, 혹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이대장군으로 임명되어 막부를 연 1603년까지를 가리킨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미야모토 무사시
에도시대 초기의 검객. 1584~1645. 병법가, 예술가. 두 개의 검을 사용하는 '이천일류(二天一流)' 병법의 창시자. 교토의 병법가 요시오카 일족과의 전투, 간류지마에서의 사사키 고지로와의 결투가 유명하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사귀
불교에서는 불교의 가르침을 더럽히는 악귀로 여긴다. 때문에 사천왕 등이 사귀를 밟고 있는 모습은 번뇌를 억누른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진언 팔조
진언 밀교의 불법을 전하고 수호한 인도, 중국, 일본의 승려 8인. 용맹, 용지, 금강지, 불공, 선무외, 일행, 혜과, 구카이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오지여래
대일여래가 가진 5가지 지혜를 금강계 다섯 여래에 한 가지씩 배분한 것이라 한다. 금강계의 오지여래는 대일여래, 아촉여래, 보생여래, 미타여래, 불공여래이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중심기둥
불탑 중심에 놓는 기둥으로, 초석의 중심 위에 서 있으며 지붕까지 이어져 지붕 위의 상륜을 받친다. 불사리를 모시는 장소를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한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불사리
부처의 유골을 가리키며, 사리를 공양하는 습관에서 사리신앙으로 발전. 일본 전래 후에도 불탑에 사리를 모시는 사리신앙이 번성하여 오층탑이나 삼층탑 등이 건립되었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
대불양식
천축양식이라고도 한다. 가마쿠라시대에 조겐에 의해 중국에서 전해진 건축양식. 커다란 목조건축에 적합하도록 튼튼한 만듦새로 만들어졌다.
이 단어가 사용된 문화유산
닫기